오래된 부부가 멀어지는 이유에 대한 반박

 



자연을 넘어 자유로 가는 길


최근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영상이 있다.

제목은 “오래된 부부 사이가 나빠지는 과학적인 이유.”(https://www.youtube.com/watch?v=ImicrCDH9us&t=1493s)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는

이중진자 법칙을 통해 왜 부부가 갈등하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영상은 흥미롭다.

초기에는 거의 같았던 두 진자의 각도가 시간이 지나며

완전히 다른 궤적으로 움직인다.


그는 말한다.

부부 관계도 마찬가지라고.

결혼 초기에 있었던 사소한 차이,

이를테면 성격이나 생활 습관의 미묘한 차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예측할 수 없는 불협화음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 설명은 설득력 있다.

과학은 삶의 현상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도구다.


하지만 이 설명이 전부일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부부관계는 자연의 법칙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 정신의 힘,

자유와 선택, 성찰과 회복의 가능성 안에 진실이 있다.


이중진자와 인간 정신은 다르다


이중진자 법칙은 자연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묘사한다.

하지만 인간의 정신은 그 법칙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


물리적 세계는 인과율에 따라 움직인다.

하지만 인간은 단순한 반응 기계가 아니다.


우리는 생각할 수 있고,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으며,

무언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에서 인간 정신은 자연을 넘어선다.

부부관계 또한 그렇다.

두 사람은 본능에 의해 사는 것이 아니라,

의지로 살아간다.


자연적 필연성으로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다가가기로 ‘결정’할 수 있는 존재다.

남자는 페르소나로, 여자는 모성성으로 시작한다


결혼 초기를 되돌아보면,

남자는 사회적 가면을 쓰고 관계를 시작한다.


이 페르소나는 남성성의 상징이고,

사회적 성취와 책임, 리더십으로 표현된다.


반면 여자는 모성성을 중심으로 관계를 시작한다.

돌보고, 배려하며, 감정을 품는 힘.


처음에는 이 두 에너지가 잘 맞는다.

남자는 여성의 감정을 지지하고,

여자는 그런 남성을 존중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남자는 다시 페르소나로 회귀하고,

여자는 엄마로서의 역할에 갇힌다.


결국,

그들의 만남은 더 이상 진짜 만남이 아니게 된다.

페르소나와 모성성의 어긋남이 점점 커지며

서로를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이때 우리는 이중진자의 분리를 본다.

예측할 수 없고,

점점 멀어지는 움직임.


다시 만날 수 있는 유일한 길: 여성성과의 접속


하지만 여기서 끝일까?

나는 아니라고 본다.


오히려 이 시점이야말로

부부가 진정으로 다시 만날 수 있는 기회다.


남자에게도 여성성이 있다.

감정, 수용성, 돌봄, 연결이라는 내면의 에너지.


여자에게도 단순한 모성이 아닌,

자기 자신의 고유한 여성성이 있다.

누군가의 엄마가 아닌,

‘나’로서 존재하는 감각과 욕망.


부부가 서로의 내면 여성성과 접속할 때,

비로소 관계는 다시 살아난다.


남자는 가면을 벗고

감정의 언어를 회복하고,


여자는 돌봄의 무게를 내려놓고

자기 자신으로 회복될 때,


그들은 다시 만난다.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중년 이후는 ‘다시 출발점’을 세우는 시간


부부 사이의 시간이 길어지면

서로의 궤도는 더욱 멀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때는

‘이중진자의 출발점’을 다시 설정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이제는 예전처럼 뜨겁지 않지만,

훨씬 더 깊고 단단한 만남이 가능하다.


부부가 함께 회복할 수 있는 지점,

그것은 새로운 열애의 시작점이다.


지금,

남자는 여성성과 접속하고

여자는 자신만의 감정과 삶을 되찾아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역할 전환이 아니다.

자유로운 두 존재가 다시 만나기로 선택하는 것.

서로를 이해하고,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며,

함께 걷기로 결심하는 것.


그 결심은

자연을 넘어선 인간 정신의 위대한 가능성이다.


결혼은 자유로운 정신의 프로젝트다


결혼은 단지 사랑해서 하는 것이 아니다.

두 사람의 자유가 만나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고유한 여정이다.


자연의 법칙은 때로 잔인하다.

하지만 인간은

그 법칙을 성찰과 선택으로 넘어설 수 있다.


사랑은 자연이 아니라

자유에서 비롯된다.


오래된 부부가 멀어진다?

그럴 수 있다.


그러나,

그 멀어짐을 넘어서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손을 잡고,

다시 바라보고,

다시 사랑할 수 있다.


부부가 서로의 여성성을 향해

용기 있게 손을 내밀 때,


우리는 자연을 넘어

자유로 가는 길을 발견하게 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결혼은 부모님을 위한 것이 아니다

아기는 알고 있다

남자와 여자, 감정의 갭과 부부싸움의 의미